극동대학교, 항공 비파괴검사 전문가 양성체계 연구논문 학회지 게재 발표
미국·유럽의 항공 표준과 비교 분석… 항공비파괴검사위원회 설립 필요성 제기
극동대학교(총장 류기일)는 본교 교수진과 업계 전문가, 학생이 공동 저술한 항공 분야 비파괴검사 전문가 양성체계에 관한 연구논문이 (사)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회지(KCI급)의 최종 심사를 통과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항공기 정비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비파괴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 전문가 양성체계를 미국(NAS 410)과 유럽(EN 4179) 기준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국내 양성체계의 부재 및 한계를 지적하며 ‘항공비파괴검사위원회(K-NANDTB)’ 설립의 필요성을 제안한 점에서 학계와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항공기 비파괴검사는 초음파, 전기자장(Eddy-Current), X-Ray, 형광침투액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기체 구조물이나 엔진 내부의 균열·결함을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탐지해 내는 첨단 기술이다. 이는 의료 분야에서 보이지 않는 뼈 골절이나 내부 조직 이상을 영상으로 확인하는 검사와 유사하며, 항공안전과 직결되는 필수 정비이다.
이번 논문에는 제네럴일렉트릭(GE) 엔진정비회사(GE OWS)에서 비파괴검사팀장으로 재직 중인 민경환 NDT Level 3 자격자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민 팀장은 “국내 최고 등급인 레벨 3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작년 7월 체코에서 4주간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했다”며, “우리나라에도 항공 산업 특성에 맞춘 전문가 양성체계가 조속히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극동대 항공정비학과 유희준 교수는 “미국과 유럽의 항공 NDT 양성체계를 연구하고, 국내 제도와 현장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수개월의 노력을 기울였다”며, “민경환 팀장과 함께 항공정비학과 박성민, 서유리 학생이 공동으로 저술에 참여해 산학협력의 좋은 사례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극동대학교 항공정비학과는 올해 초부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에서 주관하는 학술발표회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으며, 항공기 운영과 정비 분야의 주요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와 논문 발표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5월 여수와 10월 제주에서 열린 춘계 및 추계학술대회에도 참가하여 우수상을 받는 등 괄목한 만한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유 교수는 “앞으로도 항공 비파괴검사뿐만 아니라 항공용접, 표면처리, 복합소재 등 항공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분야의 특수정비기술 전문가를 적극 활용해 현장 중심의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2025년 5월, 극동대학교 항공정비학과 연구진이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발표회에서 논문 발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장소: 소노캄여수 호텔)

▲ 2025년 5월, 극동대학교 항공정비학과 연구진이 참여한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발표회 발표 현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