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Department of Nursing
대학원 소개
본 대학원의 간호학 전공은 극동대학교 대학원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간호 지식체 개발에 기여하고 간호 실무와 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간호과학자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
최신 간호이론과 연구, 실무를 통합한 리더를 양성하여 건강관리 전달체계를 발전시키고 간호전문직의 성장에 기여하며, 인간 중심의 융복합 연구를 통해 건강관리서비스 분야의 실무 전문가로서 문제 해결형 연구 성과 창출에 도전하는 융합형 인재를 배출하고자 합니다.
특히 박사과정은 간호학 분야의 상급 연구자, 이론 개발자, 정책가로서 간호 지식체를 통합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며, 국제적 감각을 갖춘 글로벌 리더 양성을 지향합니다.
본 교육과정은 체계성, 연계성, 수월성 및 통합성을 기반으로 과학적 탐구와 연구 능력을 함양하며, 전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이를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본 대학원의 박사과정 교육과정 편성은 간호학부의 교육과정의 구성원리인 체계성, 연계성, 수월성 및 통합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과학적 탐구와 연구능력을 함양하고 전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간호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국제적 이해와 교류 능력을 바탕으로 간호의 지식체를 발전시키고 세계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2. 간호현상 연구에 필수적인 이론적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장한다.
- 3. 새로운 과학적 간호지식 확립을 위해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 4. 간호전문직과 관련하여 새롭게 개발된 지식의 효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전문직 책임을 수행한다.
- 5. 간호과정 계발을 위한 과학적 지식을 생성한다.
- 6. 간호지식과 실무를 탐구하고 발전시킴으로써 간호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7. 치료적 환경에서의 간호사와 간호대상자가 포함된 돌봄 속성에 대한 이론을 개발시킨다.
- 8.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실제적 잠재적 간호 문제에 초점을 두어 대상자의 안녕을 촉진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한다.
담당교수
이름 | 전공 | 연락처 | |
---|---|---|---|
이수정 | 성인간호학 | 043)879-3761 | crystal@kdu.ac.kr |
구본진 | 모성간호학 | 043)879-3759 | joonzy@hanmail.net |
임세현 | 간호관리학 | 043)880-3840 | favor@kdu.ac.kr |
이영신 | 정신간호학 | 043)880-3520 | florence@kdu.ac.kr |
정성원 | 지역사회간호학 | 043)880-3198 | sungwon@kdu.ac.kr |
안지원 | 기본간호학 | 043)880-3823 | bambara7@naver.com |
김아림 | 아동간호학 | 043-880-3240 | arongsama@kdu.ac.kr |
박영옥 | 기초간호학 | 043-880-3242 | stemcell34@kdu.ac.kr |
최영림 | 성인간호학 | 043-880-3886 | cyr@kdu.ac.kr |
교과과정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명(영문) | 학점 | 이수구분 | 비고 |
간호이론구축II |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II | 3 | 공통필수 | 이론개발과 관련되는 주요 쟁점을 토의하고 간호이론개발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탐구하며, 간호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 |
학위논문세미나 II | Dissertation Seminar II | 3 | 공통필수 | 연구자의 관심영역에 따라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등의 연구 진행과정을 토의한다. | |
간호연구설계 및 분석II | Nursing Research: Design & Analysis II | 3 | 공통필수 | 간호연구에 활용 가능한 실험설계 접근법을 분석․검토하고 이를 계획, 수행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 |
연구윤리와 설계 | Research ethics & Design | 3 | 공통필수 | 간호와 관련된 현상을 파악하고 분류하며 이를 설명, 예측, 처방하는 과학적인 방법론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
질적간호연구방법론 II |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II | 3 | 전선 | 질적 연구방법의 철학적 관점을 이해하고, 간호연구에 활용 가능한 각 접근법의 특성 및 적용 과정을 분석․검토한다. | |
글로벌 간호조직관리론 | Global Nursing Organization Management Theory | 3 | 전선 | 글로벌시대에 부응하여 글로벌 건강문제와 이에 대한 간호접근방안을 모색하고, 간호조직의 효율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개념 분석과 전반적인 조직 시스템에 대한 관리 능력을 분석한다. | |
기본요구중재세미나 | Seminar on Basic Needs Intervention | 3 | 전선 | 인간의 기본적 요구에 초점을 두어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중재방법의 원리 탐구 및 효과증진을 위한 연구를 분석하고, 중재 전략을 개발하여 이를 간호실무에 적용하며 간호중재연구방안을 모색한다. | |
만성질환관리세미나 | Seminar on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 | 3 | 전선 |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분석․검토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자기관리 전략을 탐색한다. | |
건강증진이론 및 세미나 | Seminar on Theoretical Foundations of Health Promotion | 3 | 전선 | 건강증진과 관련된 제 이론들을 종합적으로 연구․분석하며, 효율적인 건강증진방안을 모색․개발한다. | |
노인건강문제세미나 | Seminar on Gerontological Nursing | 3 | 전선 | 노인대상자의 건강증진개념과 건강증진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토의하고 간호학적 관점에서의 노인과 관련된 연구 및 관리방안을 탐색한다. | |
지역사회건강관리론 | Community Health Care System and Management | 3 | 전선 | 보건의료체계와 보건의료 관리문제를 분석하고 지역사회간호와 건강증진 관련 이론들을 적용하여 지역보건의료사업을 계획하고 평가하는 사업기획 전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논의한다. | |
건강관리정책론 | Nursing and Health Policy | 3 | 전선 | 정책형성과정과 정책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 사례를 분석․논의하고, 현안 간호 아젠다를 중심으로 정책대안을 수립하는 구체적인 추진전략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
여성건강문제세미나 | Seminar on Women's Health Issues | 3 | 전선 | 여성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여성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관련된 요인을 분석․검토하여 여성건강연구의 방향을 모색한다. | |
정신건강연구세미나 | Seminar on Mental Health Research | 3 | 전선 | 정신건강영역의 중요한 쟁점을 깊이 있게 탐색한 후 관련된 연구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신건강 관리방안과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 |
아동건강문제세미나 | Seminar on Child Health Nursing Issues | 3 | 전선 | 아동건강과 관련된 주요 간호개념 및 이론적 체계를 확인하고 아동간호에 대한 최근 간호경향을 분석․검토하여, 실무현장에서 효율적인 아동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학습한다. | |
성인건강문제와 관리 | Adult Health Problem and Management | 3 | 전선 | 성인 간호문제를 가진 성인의 특수상황을 이해하며 성인의 간호문제와 관련된 이론 및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적합한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한다. | |
종양간호연구및세미나 | Seminar in Oncological Nursing | 3 | 전선 | 종양 환자와 관련된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간호문제를 규명하고 가능한 최적의 삶의 질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간호문제를 규명하고 종양환자 관리 전략을 간호학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개발한다. | |
간호정보학의 이론과 활용 | Nursing informatics theory and application | 3 | 전선 | 간호실무, 교육, 행정 및 연구와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해 간호학에서의 최신 정보기술 현황을 파악하고, 실제 활용기술을 습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