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안전융합학과
Department of Hydrogen Safety Convergence
학과소개
1. 교육목표
세계 1등 수소강국 실현의 근간인 수소안전을 책임지는 고급 전문인력 양성
- 수소 전주기 안전분야 R&D 수행, 신제품과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 검증
- 수소안전정책과 수소에너지 전주기의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할 전문 인재
미래선도형 수소안전 산학연 융합 인재 양성
- 수소안전 산학협력 교육으로 공공성 확대와 미래 수소경제 근간을 주도할 융합형 인재양성
2. 학과개요
수소에너지 밸류체인 전 과정의 안전분야 고급 전문인력 양성
- 수소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부응하여 수소에너지 생산-저장-운송-활용에 이르는 수소 전주기 과정에 대한 안전관리 이론과 실무, 정책 등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
- 글로벌 수소산업 안전정책 및 연구현황, 표준(인증), 안전관리 기술, 연구과제 수행 등 창의적 융합지식을 갖춘 수소산업 맞춤형 고급 전문인력을 양성
- 참고로, 2015년 파리협정과 1.5도 온도상승 제한 IPCC 특별보고서 채택(2018년) 이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정부 주도의 수소에너지로 전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
- 우리나라도 세계 최초로 수소 경제육성 및 수소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2020.2.4.)하고, 법률에 따라 정부 로드맵인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2021.11.26.)
-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 로드맵에 따라 2050년까지 체계적으로 투자와 이행이 이루어고지고 있어 2030년 이후 수소산업의 급격한 성장 예상
- 그러나, 수소경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서는 청정수소 등 글로벌 수소에너지의 안전과 표준 관련 고급 인력양성이 매우 시급
- 즉, 수소에너지 인프라의 위험성에 대한 근본적 제어와 국민의 불안감 해소를 위한 안전기술과 표준(인증), 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
- 따라서, 수소안전융합 석사과정은 글로벌 최신 수소에너지 산업 및 안전정책, 최신 안전관리기법(기술), 수소산업 현장의 애로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등을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최고 수준의 창의적 융합지식을 갖춘 고급 수소안전 핵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산실로 우뚝 자리매김 할 것임.
담당교수
이름 | 전공 | 연락처 | |
---|---|---|---|
탁송수 | 가스공학 | 043) 883-4630 | gogaek7727@kdu.ac.kr |
방효중 | 기계공학 | 043) 714-3300 | bhj@kgs.or.kr |
박성수 | 화학공학 | 031) 548-2588 | sspark@iste.co.kr |
송현철 | 전자정보 | 043) 883-4631 | oooo@kdu.ac.kr |
조한진 | 컴퓨터응용 | 043) 883-4631 | hanjincho@kdu.ac.kr |
교과과정
교과코드 | 교과목명 | 교과목명(영문) | 학점 | 이수구분 | 비고 |
---|---|---|---|---|---|
수소안전관리특론 | Hydrogen safety special theory | 3 | 전필 | ||
수소안전 제도 및 정책 | Hydrogen safety regulation and policy | 3 | 전선 | ||
수소안전 기술개발 및 연구 | Hydrogen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 3 | 전필 | ||
탄소중립과 수소경제 개론 | Introduction to carbon neutrality and hydrogen economy | 3 | 전선 | ||
수소안전과 커뮤니케이션 | Hydrogen safety and communication | 3 | 전선 | ||
수소산업과 기술경영 | Hydrogen industry and technology management | 3 | 전선 | ||
청정수소 생산공학 | Clean hydrogen production engineering | 3 | 전선 | ||
수소용품 개발과 성능안전 | Hydrogen product development and performance safety | 3 | 전필 | ||
수소에너지 재료 공학 | Hydrogen energy materials engineering | 3 | 전선 | ||
수소에너지 저장공학 | Hydrogen energy storage engineering | 3 | 전선 | ||
수소 전주기 안전시스템 이해 및 관리 | Understanding and managing hydrogen cycle safety system | 3 | 전선 | ||
수소인프라 안전설계 및 관리 | Hydrogen infrastructure safety design and management | 3 | 전선 | ||
수소인프라 방폭 공학 | Hydrogen explosion-proof engineering | 3 | 전필 | ||
안전장치 개발과 응용 특론 | Safety devi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pecial theory | 3 | 전선 | ||
AI기반 스마트 안전관리론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mart management theory | 3 | 전선 | ||
데이터 기반 사고예측과 관리론 | Data-based accident prediction and management theory | 3 | 전선 | ||
안전성평가 이론과 실무 | Risk assessment theory and pratice | 3 | 전필 | ||
신뢰성 공학 | Reliability engineering | 3 | 전선 | ||
수소에너지 시스템 안전특론 | Hydrogen energy system safety special theory | 3 | 전선 | ||
수소안전 기술 세미나 1 | Hydrogen Safety Technical Semina 1 | 2 | 전필 | ||
수소안전 기술 세미나 2 | Hydrogen Safety Technical Semina 2 | 2 | 전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