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미래를 주도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

학과 홍보 영상

[보도자료]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극동대 상담심리치료학과 치료법 연구 게시글 상세보기 - 작성자, 조회수, 등록일, 첨부파일, 상세내용, 이전글, 다음글 제공
[보도자료]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극동대 상담심리치료학과 치료법 연구
작성자 진로심리상담센터 조회수 427 등록일 2023-01-05 09:24:33
첨부파일
첨부파일 1.jpg  (59 KB)


△ 21일 극동대학교는 펫로스 증후군 치료를 위해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애도 과정 연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자료사진)2022.6.21/뉴스1 © News1



(음성=뉴스1) 윤원진 기자 = 극동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가 반려동물을 잃은 가구의 애도 과정을 연구해 주목된다.

21일 극동대에 따르면 상담심리치료학과 석·박사 과정에서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애도 과정 연구를 추진한다.

이시은 수강생은 본격적 연구에 앞서 동향 분석 자료를 조사했다. 관련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 문헌 21편을 분석했다.

반려동물 상실 원인은 노화(46.87%)가 가장 많았다. 질병으로 인한 안락사(18.75%)와 질병(6.25%)이 뒤를 이었다.

상실 후 애도를 느끼는 기간은 5년 미만(71.87%)이 주를 이뤘고, 5년 이상 10년 미만도 12.5%나 됐다.

반려동물을 키운 기간은 10년 이상이 71.86%, 5년~10년 미만이 15.62%, 5년 미만이 12.5%였다. 반려동물 종류는 개(65.5%)가 고양이(31.0%)보다 많았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50%)가 부부(6.25%)와 1인 가구(3.12%)보다 반려동물 상실에 더 큰 애도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펫로스(반려동물 상실) 증후군'을 치료하는 소중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펫로스 증후군은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반려인들이 보이는 우울감과 상실감 등의 반응을 말한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604만 가구, 1448만명으로 추정된다.



윤원진 기자(blueseeking@news1.kr)


출처: 뉴스1(뉴스1 언론사홈 (daum.net))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극동대 상담심리학과 치료법 연구 (daum.net)

작성일: 2022.06.21.
다음글 [보도자료] 극동대 대학원 상담심리치료학과, 연구 성과 발표회 열어
이전글 [보도자료] 극동대 대학원 상담심리치료학과, 학술제 및 지역사회연계 워크숍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