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찌는 듯한 더위가 이어지는 여름철, 음식물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30대 여성 환자가 상한 김밥과 샐러드를 먹은 뒤 심한 구토와 복통으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실온에 방치된 음식에서 급속도로 번식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으로 밝혀졌다. 환자는 심한 탈수 증세로 입원 치료를 받는 등 무더위 속 건강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좋은문화병원 소화기내과 여승현 과장은 “실온에 보관된 음식은 짧은 시간에도 세균이 폭발적으로 증식할 수 있어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온다습한 여름은 세균 증식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 식중독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인다.
식중독, 단순 배탈과 어떻게 다를까?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단순 배탈과 달리 세균, 바이러스 또는 이들이 만든 독소가 원인이다. 여름철 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는 주로 실온에 오래 둔 김밥, 샐러드 등 즉석 음식에서 증식하는 황색포도상구균 외에도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균 등이 있다.
살모넬라는 덜 익힌 달걀이나 닭고기 등 육류가 주요 감염원이다. 또 장염 비브리오균은 해산물이나 생선회를 통해 감염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설사, 복통, 구토, 발열, 근육통 등이며, 감염 후 6~48시간 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건강한 성인은 대부분 며칠 내 자연 회복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취약 계층의 경우 탈수 등으로 인해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사제는 독! 수분 보충에 집중하세요
식중독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 보충이다. 잦은 구토와 설사로 인해 몸속 수분과 전해질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이온음료나 따뜻한 보리차 등을 마셔 탈수를 막고, 위장에 부담이 적은 죽이나 미음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여 과장은 “설사를 멈추기 위해 지사제를 무조건 복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지사제는 체내의 독소 배출을 늦춰 오히려 회복을 더디게 만들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은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식중독 예방, 이 4가지만 기억하세요!
식중독은 △손씻기 △익혀 먹기 △냉장 보관 △도구 분리 등 간단한 생활 수칙만으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 습관만으로도 식중독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살모넬라균 등 대부분의 식중독균은 열에 약하다. 음식은 75℃ 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익혀 먹는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빨리 섭취하고, 상온에 오래 두지 말고 냉장고에 보관하고 육류, 해산물, 채소용 도마와 칼을 따로 사용해 식재료 간 교차 오염을 막아야 한다.
특히, 어린이, 노인, 만성 질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식중독에 걸리면 더 위험할 수 있다. 만약 피가 섞인 설사, 고열, 의식 변화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