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간호부터 환자권리까지 --- 10개 분야 100개 소주제 구성
표준화된 간호 제공 지원 --- 매뉴얼 개발 어려운 중소병원에서 유용
병원간호사들이 표준화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실무 온라인 매뉴얼’이 개발됐다. 특히 자체 매뉴얼 개발이 어려운 중소병원 간호사들에게 유용하다.
대한간호협회가 운영하는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는 ‘간호실무 온라인 매뉴얼’을 개발하고 웹사이트(https://nursingnavi.rnjob.or.kr/)를 오픈했다.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바로 접속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바로가기
‘간호실무 온라인 매뉴얼’은 10개 분야 34개 주제 아래 총 100개 소주제로 구성됐다. 간호업무 수행을 위해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을 표준화해 담았다.
10개 분야에서는 기본간호, 투약간호, 검사 및 시술간호, 수술간호, 수혈간호, 응급간호와 함께 의사소통, 환자안전, 감염관리, 환자권리 및 개인정보보호를 다루고 있다. 34개 간호실무 주제는 하단 [목차] 참조.
매뉴얼에서는 상황별 예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준비물품 및 간호과정을 보여주는 생생한 사진과 그림을 제공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필요한 사정/평가 도구도 제시했다. 주요 키워드에 태그 설정이 돼 있어 연관된 간호실무를 바로 검색할 수 있다. 주요 약어는 용어사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간호실무 온라인 매뉴얼’은 2016년 대한간호협회 ‘현장중심 간호실무 앱 개발 소위원회’에서 처음 개발했으며, 이번에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에서 간호현장 자문단을 구성해 내용을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웹사이트로 재탄생시켰다.
자문단으로 김정미 대한간호협회 이사(전 한림대동탄성심병원 간호부장), 이유나 고려대구로병원 간호팀장, 정말예 경희의료원 외래간호팀장, 김효은 명지병원 간호사 등이 참여했다.
[간호실무 온라인 매뉴얼 목차]
◇제1장 의사소통 = △고객응대 △ SBAR
◇제2장 환자안전 = △환자안전
◇제3장 기본간호 = △배설간호 △호흡간호 △배액관 관리 △영양간호 △활력징후 △신체계측 △카테터 관리 △통증간호
◇제4장 투약간호 = △약물 이상반응 △고위험 약품 △투약기기 관리 △투약방법 △투약준비 △항암환자 간호
◇제5장 검사 및 시술간호 =△검체 채취 △영상 검사 △핵의학 검사 △골수 검사 △내시경 △심혈관 검사 및 시술 △혈관 중재술 △천자
◇제6장 감염관리 = △손 위생 △격리 △린넨 및 폐기물 관리
◇제7장 수술간호 =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제8장 수혈간호 = △수혈간호
◇제9장 응급간호 = △응급간호
◇제10장 환자권리 및 개인정보보호 = △환자 권리와 의무 △개인정보 보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