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윤리 미래를 주도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

연구윤리

연구윤리

연구윤리의 정의

  • 연구자로서 정직하고 책임 있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켜야 할 규칙이나 윤리
  • 연구윤리 및 진실성 확립 연구 부정행위 사전 방지
  • 연구 부정행위 발생 시 공정하고 체계적인 진실성 검증 및 처리

연구부정행위 유형

  • 위조: 존재하지 않는 연구 원자료 또는 연구자료, 연구결과 등을 허위로 만들거나 기록 또는 보고하는 행위
  • 변조: 연구 재료ㆍ장비ㆍ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연구 원자료 또는 연구자료를 임의로 변형ㆍ삭제함으로써 연구 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
  • 표절: 다음과 같이 일반적 지식이 아닌 타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또는 창작물을 적절한 출처표시 없이 활용함으로써, 제3자에게 자신의 창작물인 것처럼 인식하게 하는 행위
    • 가. 타인의 연구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출처를 표시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는 경우
    • 나. 타인의 저작물의 단어ㆍ문장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사용하면서 출처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
    • 다. 타인의 독창적인 생각 등을 활용하면서 출처를 표시하지 않은 경우
    • 라. 타인의 저작물을 번역하여 활용하면서 출처를 표시하지 않은 경우
  • 부당한 저자 표시: 다음과 같이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대하여 공헌 또는 기여를 한 사람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저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거나, 공헌 또는 기여를 하지 않은 사람에게 감사의 표시 또는 예우 등을 이유로 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절차
    • 가.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대한 공헌 또는 기여가 없음에도 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경우
    • 나.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대한 공헌 또는 기여가 있음에도 저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
    • 다. 지도학생의 학위논문을 학술지 등에 지도교수의 단독 명의로 게재ㆍ발표하는 경우
  • 부당한 중복게재: 연구자가 자신의 이전 연구결과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저작물을 출처표시 없이 게재한 후, 연구비를 수령하거나 별도의 연구업적으로 인정받는 경우 등 부당한 이익을 얻는 행위
  • 연구 부정행위: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방해 행위: 본인 또는 타인의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를 고의로 방해하거나 제보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행위"
  • 그 밖에 각 학문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심각하게 벗어나는 행위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 기능

  • 연구윤리·진실성 관련 제도의 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착수 및 조사결과의 승인에 관한 사항
  • 부정행위 제보 접수 및 처리부서의 지정에 관한 사항
  • 제보자 보호 및 피조사자 명예회복에 관한 사항
  • 연구진실성 검증결과의 처리 및 후속조치에 관한 사항
  • 기타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

검증절차

  • 1. 제보접수 및 심의
  • 2. 예비조사 단계
  • 3. 판정결과 통보
  • 4. 이의신청 접수
  • 5. 본조사 단계
  • 6. 결과 통보
  • 7. 이의신청
  • 8. 재심의 후 최종 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