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 세계 1등 수소강국 실현의 근간인 수소안전을 책임지는 현장 즉응형 전문인력 양성
Department of Hydrogen Safety - 수소안전학과는 2025년 신설학과로 기존 친환경에너지공학과에서 수소에너지 분야를 분리하여 수소안전 전문인력 양성을 특화하였습니다. 즉 수소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부응하여 수소에너지 생산-저장-운송-활용에 이르는 수소 전주기 과정에 대한 안전관리 이론과 실무,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수소산업 표준, 안전관리 기술 및 현장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창의적 융합지식을 갖춘 현장 즉응형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수소에너지 밸류체인(생산-저장/운송-활용) 예시

제1차 수소경제이행기본계획(2021.11.26. 정부발표) 중 기대효과

수소기업과 업무협약 및 세미나 개최현황
구분 | 개최일 | 주요내용 | 비고 |
---|---|---|---|
업무협약 | 2022.11.1. |
|
세미나 개최비 지원 |
2023.8.22. |
|
학교발전기금 2천만원 | |
2023.8.29. |
|
학교발전기금 2천만원 | |
세미나/심포지엄 | 2022.11.1. |
|
|
2022.12.7. |
|
||
2023.4.26. |
|
||
2023.5.31. |
|
||
2023.7.20. |
|
||
2023.9.21. |
|
수소학회,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 공동개최 | |
2023.12.27. |
|
학사안내 - 교육과정
수소안전학과 교과과정은 전공필수 8개과목 24학점, 전공선택 16과목 48학점입니다. 교과과정은 수소에너지 밸류체인 전 과정의 기술 및 안전관리와 관련하여 편성하였으며, 학기별 모든 교육과정에 수소산업현장 견학과 실습시간이 포함되어 운영됩니다.
이수구분 | 과목명 | 과목개요 | |
---|---|---|---|
한글 | 영문 | ||
전필 (8) |
가스공학개론 | Introduction to Gas Engineering | 가스사용의 역사, 사용 현황, 가스의 종류와 특징, 위험성 등 습득 |
수소에너지특론 | Hydrogen energy special theory | 수소에너지의 도입 필요성, 수소산업 전주기에 대한 이해와 국내외 산업동향 분석 | |
청정수소생산공학 | Clean hydrogen production engineering | 청정수소의 개념, 국내외 인증제도 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등 이해 | |
수소저장특론 | Hydrogen storage special theory | 저장 상태(기체, 액체, 고체)에 따른 수소 저장 기술 소개 및 각 저장 소재에 대한 정보 제공 | |
수소운송특론 | Hydrogen transportation | 수소의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파악 및 안정성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 | |
수소플랜트공학 | Hydrogen plant engineering | 플랜트의 설계, 건설, 운영에 필요한 공학적 지식과 기술 교육 | |
수소연료전지공학 | Hydrogen fuel cell engineering | 연료전지의 기초 원리 및 특성, 효율 향상 방안 등 이해 | |
수소생산공정특론 | Hydrogen Production Process special theory |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등 각 생산 공정 이해 및 특징 분석 | |
전선 (16) |
일반화학(1)(2) | Basic Chemistry(1)(2) |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는 물질과 주위의 환경현상에 대한 변화, 원소 및 화합물, 화학결합, 물질의 상태, 분자의 반응, 산화환원 반응, 산-염기 개념, 기본적인 유기화학 등 지식 습득 |
열역학 | Thermodynamics | 열과 일, 물질의 상태량 등 기본개념을 익히고, 에너지 생성, 변환과 연관된 열역학 법칙을 습득 | |
가스안전관리개론 | Introduction to Gas Safety Management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KGS Code 등 가스안전관리체계 전반에 대해 습득 | |
수소용품 개론 | Hydrogen Apparatus | 수소추출기, 수전해설비, 연료전지 등 수소용품의 제조, 성능기준 등 습득 | |
수소재료개론 | Introduction to Hydrogen Materials | 수소의 제조공정, 재료 특성 등에 대해 습득 | |
수소안전정책 | Hydrogen safety policys | 수소산업과 수소법 체계의 이해, 국내외 수소안전정책 동향 파악 | |
방폭공학 | Explosive engineering | 폭발과 방폭 기본 원리 이해 및 다양한 유형의 폭발을 분류하고 폭발이 일어나는 조건, 피해저감 방법 등 파악 | |
방폭공학 | Explosive engineering | 폭발과 방폭 기본 원리 이해 및 다양한 유형의 폭발을 분류하고 폭발이 일어나는 조건, 피해저감 방법 등 파악 | |
수전해촉매공학 | Water electrolysis catalyst engineering | 촉매 소재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 학습과 수전해 촉매와 관련된 화학적인 원리 및 수전해 시스템 이해 | |
수소안전공학 | Hydrogen safety engineering | 수소의 물성, 위험성, 사고사례 등 학습 | |
신뢰성공학 | Reliability engineering | 제품, 시스템의 수명 평가 및 장애 최소화 및 대응에 관한 방법 교육 | |
위험성평가특론 | Risk assessment special theory | 석유화학 및 가스시설 등에서 다양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위험을 분석평가하여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결정 방법 습득 | |
수소시스템최적화특론 | Hydrogen systems optimization special theory | 수소 시스템 내 구성요소 간 역학적 모델링을 통한 성능 최적화 방법 습득 | |
수소안전표준 | Hydrogen safety standard | 수소시설 및 설비의 국제 기준과 표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이해 | |
현장실습(1) | Field training(1) | 수소에너지 각종 산업현장 안전실무 실습 | |
현장실습(2) | Field training(2) | 수소에너지 각종 산업현장 안전실무 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