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했다.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정부가 1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수소차 보급 확대 △국가수소중점연구실 운영을 공식화했다.
수소경제위는 청정수소 인증제 관련해 청정수소의 등급을 4등급으로 나누고, 이산화탄소를 0~0.1kg 배출하는 경우 1등급, 0.1~1kg 배출 2등급, 1~2kg 배출 3등급, 2~4kg 배출 4등급으로 정했다. 청정수소로 인정받기 위해선 원료채굴~수소생산(Well-to-Gate)까지 수소 1kg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은 4kg이하가 돼야한다.
정부는 청정수소 인증운영기관과 인증시험평가기관을 단수로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인증운영기관에서 개최하는 인증심의위원회에서 청정수소를 인증한다.
정부는 한국에서 2030년까지 청정수소가 80만톤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스발전과 석탄발전에서 수소와 암모니아 혼소 비중을 늘릴 예정으로, 수소 수요는 29만톤, 암모니아 수요는 289만톤(수소 51만톤)이 필요하다. 또 같은 시기 수소차가 누적으로 30만대 보급되면 최대 29만톤의 수소가 필요하다고 예측했다. 산업부문에선 수소환원제철 공정의 확대, 석유화학 공정 연료의 수소·암모니아 대체로 수소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청정수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해외에서 청정수소를 수입하는 한편, 기존의 국내 세제 혜택 유지, 재생에너지와 원전 연계 수전해 실증 사업 지원, 청정수소 발전입찰시상(CHPS)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소경제위는 수소경제를 뒷받침할 소재, 부품, 장비(소부장) 산업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2022년 40%에 불과한 소부장 국산화율을 80%까지 끌어올리고 글로벌 수소 소부장기업 20개를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수소 10대 분야로 지정한 수전해, 수소 충전소, 수소 운반차량, 액체수소 운송선,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 수소터빈, 암모니아 합성·분해, 수소 저장·배관, 수소엔진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초기 수소경제 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설치지원금을 투입해 수소청정소의 갯수를 늘리고 청정수소 인증제와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운영해 수소터빈 수요를 유도할 계획이다. 수소선박과 이동식 수소발전기를 지자체와 군·경찰에 시범적으로 보급하고 국산 수전해 설비 상용화 시기 전후로 한국형 청정수소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한국형 청정수소 프로젝트는 원전을 활용한 핑크수소(원전수소)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2024년부터 10MW급의 원전수소를 개발하기 시작해 2027년 이후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연계한 100MW 원전수소에 도전하고 2030년 GW급 원전수소를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함께 2030년 수소차를 30만대 보급하고 수소충전소를 660기 이상 구축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계획으로 2023년 11월 현재 582대 보급된 수소버스를 2030년 2만1200대까지 보급한다. 수소 카캐리어, 냉동차, 트랙터, 수소화물차, 지게차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2024년 수소지게차 보조금을 신설하고 2025년 수소청소차 민간보조사업 신설 여부를 검토하며 친환경 정책금융을 활용해 민간의 수소버스 대량구매를 유도할 방침이다.
수소경제위는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2030년 MW급 수전해 기술의 국산화를 핵심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알칼라인·PEM 수전해 기술과 고체산화물, 음이온교환박 수전해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알칼라인 수전해의 경우 에기연, 생산기술연구원, UNIST가 참여하고 PEM수전해의 경우 과학기술연구원, 화학연구원, KAIST가 참여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올 12월 알칼라인·PEM 수전해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지정고시를 마련하고 내년 상반기 중 차세대 수전해 중점연구실을 선정할 방침이다.
데일리한국_안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