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산업에 대응 가능한 에너지ICT 융합지식을 갖춘 친환경에너지 전문인력 양성
Department of Green Energy Engineering - 에너지 ICT 혁신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정착과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 산업에 대응 가능한 에너지·ICT 융합지식과 4C능력을 갖춘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양성 (4C: Critical Thinking, Creative, Collaboration, Communication)
친환경에너지학과는
신설학과로 친환경에너지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충북혁신도시 산학융합지구에 캠퍼스가 2022년 3월 오픈합니다.
신설학과로 친환경에너지 전문인력양성을 위하여 충북혁신도시 산학융합지구에 캠퍼스가 2022년 3월 오픈합니다.
충북혁신도시캠퍼스는 정부기관, 공공기관 및 친환경에너지기업등의 주변 산학연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곳으로 본 학과에서는 각 기관들과의 인턴쉽, 실습학기제, OPEN캠퍼스, 공동연구개발 과제 수행 등으로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산업현장에 필요한 학습을 진행합니다.
친환경에너지학과에서는
- 친환경에너지학 전문가 및 지역 인재 양성
-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 진출을 위한 전문 교육
- 관련 산업체 진출을 위한 산업체 연계 교육
- 친환경에너지 관련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 친환경에너지 전문가로써 갖추어야 할 인성교육
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성과 지식을 각준 친환경에너지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학습 분야 소개
- 본 학과에서는 융합 기초 및 교양·인성 단계(1학년) 융합 기본 및 핵심 단계(2학년), 융합 심화 단계(3학년), 융합 실행 및 응용 단계(4학년)로 친환경에너지학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생산, 에너지 저장/변환, 에너지 분배 및 관리, 에너지 재활용(환경)을 배우게 됩니다.
(태양광에너지, 2차전지,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스마트그리드).
학과 전공 역량 및 정의
학과 전공 역량 및 정의 | |
논리적 분석역량 | 문제의 구조를 명료하게분석, 이해하고 효율적인 해결방법 제시할 수수 있는 역량 |
창의적 탐구역량 | 공학적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와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역량 |
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 공지식을 바탕으로 의사소통과 조율능력을 발휘하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역량 |
전문기술강화 및 실무업무 능력 역량 | 기관과의 다양한 협력 및 실무교육을 통해 산업기관에서 필요한 지식과 업무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 |
충북혁신도시 캠퍼스소개
< 충북혁신도시 산학융합지구 캠퍼스 >
-
친환경에너지학과 캠퍼스
신규 건립으로 기숙사, 전자도서관, 체력단련실, 운동장, 북카페, 편의점, 식당등이 캠퍼스내 위치하고 있으며, 혁신도시 내 교육, 문화, 의료, 체육, 복지, 교통시설등이 조성되어 있음.
-
충북혁신도시
태양광·에너지, 정보통신·과학기술, 교육·인재개발, 공공서비스 등으로 특화한 친환경 녹색 치유도시이며 산·학·연·관등 기관이 서로 협력하는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임.
- 공공기관 : 한국가스안전공사, 국가기술표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소비자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고용정보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법무연구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 에너지 시험 및 인증센터 : 태양광기술지원센터, 대용량 ESS 시험평가센터, 건물에너지기술센터, 미세먼지시험센터, 기후변화 실증센터, 자동차연비센터, 주거환경실증센터, 차세대융합기술혁신센터, 수소가스안전체험센터등
- 인근 에너지 기업: 한화에너지솔루션, 현대에너지솔루션, DB하이텍,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취득자격증 및 졸업 후 진로
- 취득 자격증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진단사 / 태양광발전기사 / 온실가스관리기사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안전기사 / 전기설비기사 / 전기응용기사 등
- 진학 : 동대학원 진학 시, 친환경에너지 고급전문가 과정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해외 전문기관으로의 연수.
- 취업 :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 충청권 51개 공공기관의 경우 지역인재채용 의무화(혁신도시법시행령)로 2022년부터 채용 비율 30% 의무 채용. 친환경에너지 관련 산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