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 학과소개
- 역량을 갖춘 창의적 디자이너 배출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 산업디자인학과는 인간생활환경에 유용한 제품의 창의적인 디자인을 통하여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실용적, 경제적, 문화적 가치를 지어냄으로써 쾌적한 생활문화도구를 창출하는 디자인교육을 하고 있다. 즉, 인간생활환경과 그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점을 변화시켜 편리성과 디자인 가치를 창조하는 교육을 한다. 동시에 이타적 디자인에 근거한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윤리를 실천하며 예술, 기술, 비즈니스를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융합형’ 디자인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교육목표
- 1) '디자이너로서의 존재 인식(to be)', '디자이너로서 사회적 가치의 내적 동기 소유(to have)', '디자이너로서의 도덕적 창의성 발현(to do)‘ 을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 및 세계에 봉사할 수 있는 디자인 인재를 양성한다.
- 2) 본교의 교육 핵심 가치인 외국어구사능력, 인턴십, 봉사를 통한 리더십을 함양시켜 전 세계를 무대로 자립 가능한 ‘융합형’ 디자인 인재를 양성한다.
학과 전공 역량 및 정의
학과 전공 역량 및 정의 | ||
전공 역량 | 외국어능력 | 대학의 정기적인 토익시험 및 학과의 교과목일 영어세미나, 영어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외국어 능력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음. |
국제감각 | 상기 외국어 능력을 중심으로 신 조형개념을 IF, RED DOT디자인 등 유수의 세계적 디자인 매체에 도전하고 있음. | |
도전정신 | 국내외 유수의 디자인공모전을 통해 현재 나의 위치와 국내외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많은 성과도 이루었음 ex)삼성 디스플레이 공모전 대상, 인켈공모전 금상, 대학생디자인공모전 금상 외 | |
비판적사고 | 전공수업의 중간 및 최종평가는 PT를 통하여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 |
문제해결능력 | 디자인자체가 새로운 문제를 해소하는 학문으로 꾸준한 자기성찰과 환경 분석을 통해 문제요소를 도출하여 해결 함. | |
창의력 | 창의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며 문제요소의 분석 및 해결요소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창의능력이 발생한다고 보고 지속적인 기능의 융합을 요구하는 수업을 하고 있음. | |
협력 | 일부 교과의 조별작업을 통해 주제에 대한 공감능력과 개인이 맡은 부분이 어우러져 완성되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음. |
진출 분야
- 제품디자이너, 팬시디자이너, 포장디자이너, 시스템가구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공공디자이너, 환경디자이너, 스트리트 퍼니쳐 디자이너, 조명디자이너, 전시디자이너, 산업디자이너, 디자인 코디네이터,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이너, CAD 전문가, 디자인 프리랜서, 공공디자인공무원, 디자인교육 전문가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졸업 후 진로
- 제품디자인산업기사
- 제품디자인기사
-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 컬러리스트산업기사
- 컬리리스트기사
- 웹디자인기능사
특성화
산업디자인학과 특화 산학협력 산업체 및 기관
- 1) 학과 모토
- 1. Bravery (극동 산디인은 남의 것을 모방하지 않는 용기를 갖고 신뢰를 추구한다)
- 2. Great Master (극동 산디인은 디자인 분야에서 ‘거장’이 되기 위한 내공을 쌓는다)
- 3. Passion (극동 산디인은 가슴벅찬 목표를 설정할 줄 알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즐긴다)
- 2) 교육 특성화 전략
- 1. 디자인핵심역량 위주의 수업을 통해 취업 준비를 끝내고 창업능력까지 확장하기
- 2. 디자인영어교육을 통해 원어민 디자이너와 소통하기
- 3. 세계디자인공모전(iF, RED DOT, IDEA)을 통해 본인의 작품능력 확인하기
- 4. 산학협동 및 융합형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인턴십 키우기
- 5. 국내외 봉사 활동(국제협력단, 리더십센터)을 통해 리더십 키우기